분류 전체보기 (226)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VSCODE 마켓플레이스에서 java를 검색후 다운받아줍니다. Extension Pack for jav를 다운받아줍니다. Spring Boot Extension Pack을 다운받아줍니다. sts(Spring Tool Suit) 설치 Spring 전용툴 다운받은 jar파일을 경로를 알기 쉽게 D로 잘라 넣어줍니다. cmd창을 열어주고 D:경로로 이동합니다. java -jar 뒤에 다운받은 jar파일의 경로를 넣어서 실행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실행이된다면 성공한겁니다. 다운받아진 파일을 tools로 잘라넣어줍니다. workspace 경로 설정 실행창 모르는 화면창들은 모두 삭제를 해준다. 폰트설정 화면창을 보기 쉽게 검정색으로 바꾸어줍니다. 스레드(Thread) 스레드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모든 프로세스에는 한 개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동기적실행 - 일의 순서가 있다 데이터관점에서는 데이터의 일치 동기적실행이 안되어있다 - 데이터의 일치가 되어있지않다. 비동기적실행 - 일의 순서가 없다. Thread.sleep - 단위 : 1/1000 결과값이 한번에 나오지않고 1초에 하나씩 나올것이다. 스레드,비동기방식 작성해보기 아래 코드 실행 순서 1. 일반 클래스 타입의 FakeThread가 실행 된다. 2.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은 RealThread클래스가 실행 된다. 3. 이때 RealThread는 자신의 클래스 안의 run메서드가 실행된다. 4. 리얼 스레드가 실행 되면서 maind.. 공공데이터 가져오기 공공데이터포털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기상청_단기예보 라는 공공데이터를 가지고 왔습니다. 여러개의 상세기능정보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초단기실황조회를 가지고오겠습니다. ServiceKey에는 위에 일반 인증키(Encoding) 값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놓으면 됩니다. pageNo = 1 numOfRows = 1000 dataType 같은경우 xml형식과 JSON형식으로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날짜는 오늘 날짜로 가지고오겠습니다. 왼쪽은 JSON형식으로 불러온것이고, 오른쪽은 XML형식으로 불러온것입니다. 이번에는 JSON형식을 활용해서 공공데이터를 불러오도록 하겠습니다. OpenAPI 정보에 참고 문서 파일이 있습니다. 파일이 두개가 있습니다. 원하는 지역의 격자,경도,위도가 나옵니다. 격자 X, 격자 Y.. 스트림(Stream) 스크림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이라는 의미이다. Input = 프로그램이 들어온다 Output = 프로그램이 나간다. InputStream이 while로 계속 데이터가 들어오는지 대기하다가 read로 데이터를 들어 온것을 읽고 그 데이터를 number로 저장한다. 여기서 in은 키보드랑 연결된 선이다. InputStream in = System.in; A를 콘솔창에 입력하면 ASCII코드 값이 65가 나온다. number를 다운캐스팅 해주면 A를 입력하면 A가 나온다. 배열로 스트림 배열크기를 4로지정했기때문에 콘솔창에서 데이터를 아무리 많이 입력해도 4개의 데이터만 출력된다. package communication; import java.io.InputStream; import java.io.. 일반변수와 레퍼런스 변수 일반변수 -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것(컴파일 시점) 레퍼런스 변수 -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는 것(컴파일 시점) int num =10; // 일반변수 MyData d; // 레퍼런스 변수 기본 타입 일반변수 num은 10이라는 크기가 정해져있지만 레퍼런스 변수인 d는 크기를 알수없다. Mydata는 참조 자료형중 하나인 클래스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만든 커스텀 타입이다. 커스텀 타입은 처음에는 크기를 알수없다. (컴파일 될때 크기를 알 수없고, 프로그램이 실행(Runtime)되면 그때서야 크기를 알 수 있다. 일반변수는 값을 가지고 있다. 레퍼런스 변수는 주소를 가지고 있다. 그이유는 ? 일반 변수는 컴파일 되었을때 크기를 알 수 있지만 참조 변수는 컴파일 되었을때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리 아.. product 테이블 생성 테이블 생성방법 시퀀스 시퀀스란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순번을 반환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입니다. 보통 PK값에 중복값을 방지하기위해 사용합니다. 시퀀스 생성방법 시퀀스를 만들어준다. 1번 실행하면 2개가 들어간걸 확인할수 있다. 롤백을 하면 테이블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 중간번호가 삭제가 안되고 4부터 시작을 한다. 시퀀스를 삭제하고 시퀀스를 다시 만들어준다.(customer,product,order) 테이블을 확인해보면 시퀀스 번호가 1로 바뀐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에와 같은 방식으로 product테이블을 만들어준다. 기존 product테이블이 있기때문에 삭제하고 product테이블을 다시 만든다 시퀀스를 만들어준다. orders 테이블도 만들어준다. orders 시퀀스도 만들.. 서비스 service패키지를 만들고 그전에 만들었던 빨간박스안에 있는 5개의 클래스를 복사해서 가져온다. MyService라는 새로운 클라스를 만들어준다. Source에 Generate Constructor using Fields를 눌러준다. MyServiece는 아래 빨간 박스 없으면 못만든다,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