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26)
Controller - 로그인 Git으로 프로젝트 import하는 방법 https://github.com/codingspecialist/Springboot-JSP-Setting.git GitHub - codingspecialist/Springboot-JSP-Setting Contribute to codingspecialist/Springboot-JSP-Setti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Respositories를 눌러준다. 원하는 프로젝트를 눌러준다. url코드를 복사를 한다. STS에서 왼쪽 프로젝트창에서 빈공간에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import를 클릭해준다. 검색창에 git을 입력하고 Projects from Git(with smart import)..
lombok jar파일로 다운을 해줍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원하는 곳으로 잘라 넣어줍니다. 설치완료 설정
git 설치 계속 next를 눌러준다. 체크박스를 두개다 체크해준다.
데이터 전달 - 쿼리스트링, 패스 값 받기 쿼리스트링 URL의 뒤에 입력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가장 단순한 데이터 전달 방법 경로 작성형식 - 엔드포인트 주소 이후에?를 적는 것으로 쿼리스트링 시작을 알려줍니다. - parameter = value로 필요한 파라미터의 값을 적는다. - key와 value를 =로 구분해 줍니다. 메서드의 파라미터 값으로 id=1 & username=ssar로 선언해주었다. 콘솔창에 id:1과 username :ssar를 가져온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jsp파일 패스값 받기 @PathVariable를 선언해준다. {id}안에는 아무 값이나 넣으면 된다. 주소값/ 뒤에 2를 넣어주니 콘솔창에서 2를 받아오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joinForm페이지 joinForm 페이지 회원가입완료를 누르면 콘솔창에 입력한 이..
URL, URI URL URL은 파일의 위치를 가르킨다.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것이고) 웹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해 .jsp파일을 직접 호출을 해주는 방식 URI URI는 서블릿 파일로 호출한다. Controller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며, 클라이언트가 직접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확장자가 있으면 URL이다. SPRING spring에서는 URI 요청방식만을 사용한다. SpringBoot는 URL로 접근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 즉 정적인 자원의 Request, Response를 허용하지 않는다. Spring은 Tomcat을 통해서만 자원의 접근 할 수 있는 구조이다. 템플릿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자바 서블릿을 사용하는 것보다 편하다.
sts 웹개발환경 sts 웹개발 환경 다 설치하면 RESTART를 해준다.
view resolver view resolver 라이브러리 설치 자바의 호환을 위해서 9.0.22를설치한다. /demo/src/main/webapp/ (뷰를 찾기 위한 루트폴더) sts 개발설정 하기 이름은 홈으로 설정해준다. CSS Files, HTML Files, JSP Files의 Encoidng을 UTF-8로 바꾸어주고 적용시킨다. 삭제한다.
sts 첫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 Group에는 도메인을 적어준다.(지금은 강사님의 도메인에 적어준다.) 둘의 이름을 맞춰준다. 혼자 프로젝트를 만들때 밑에 3개의 박스를 바꿔주면된다. (도메인은 강사님의 도메인을 사용한다.) 체크박스는 라이브러리이다.(spring 공식라이브러리) 여기에 없는 라이브러리는 외부라이브러리이다.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체크해줍니다. Developer Tools에 검색창에 web을 검색해서 Spring web을 체크해줍니다. 필요한 모듈들을 모두 선택한 다음 Finish를 눌러줍니다. 화면 왼쪽 아래를 보면 다운받는 상태가 보일텐데 다운받을때는 아무것도 건들이지 않습니다. (괜히 건드렸다가 바뀔수도 있음) 위에 빨간 박스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아래박스에서 코드를 테스트한다. 내가 아까다운 받은 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