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db연결(USERS-CRUD) - select,insret,delet,update 기본세팅 github에서 import하기 import가 끝나서 실행을 해보면 서버는 잘 동작하는데 아무것도 시작이 안될것이다. ======================================================================== 테이블 예제 추가 commit까지 까먹지말고 실행해줍니다. ioc에 있는 모든 객체는 생성자의 주입을 통해 받을수있다. final로 정의한 필드는 해당객체가 new될때 무조건 들어와야한다. new될때 값이 있을려면 생성자가 만들어주어야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final이 붙어있는 애들만 생성자를 만들어준다. 위에 코드의 UsersDao는 MapperScan을 통해 메모리에 떠있다. MapperScan이 new를 해준다. "s.. 데이터베이스 연결 데이터베이스 연결방법 1. conn(Dao, Service가지고 있음) 2. 쿼리작성 3. 전송 (select) 4. rs 5. Java Object 변경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메모리 저장소에 request, Conn(Connection) 2가지 객체가 생긴다. request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생기고 conn은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왔을때 DS(Dispatcher Servlet) 진입직전에 생긴다. request는 아파치 톰캣에서 빠져나올때 사라진다. conn은 DS에서 빠져나올때 사라진다. conn이 모여 있는 저장소에서 빌려온다는 개념이 맞기 때문에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반납하는것이다. 톰캣 xml파일 (server, context, web) 톰캣에 3개의 xml파일 이 있다. Server.xml (외부설정) 통신에 관련된 설정을 한번만 한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통신들을 관리한다. server.xml 아까 설정한 Server port 8005가 설정되어있다. HTTP 프로토콜 1.1을 사용한다. context.xml(내부설정) Spring이 실행될때 통신과 관련되지 않는 설정을 한번만 한다. db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web.xml web.xml은 필터링을 한다. web.xml을 통해 문지기가 만들어지는데 그 문지기가 web.xml 표를 보고 필터를 한다. web.xml의 표가 문지기에게 한번만 주기때문에 한번만 실행된다. web.xml 파일은 한번만 진행한다. 문지기는 웹이 들어 올때마다 실행한다. 아파치 톰켓 설치 설치가 완료되면 계속 next누르다가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ser 자바경로를 적어줍니다 Shoe Readme는 체크하지 않습니다. 내윈도우의 특정폴더가 서버가 된다. context, server, web.xml 3개의 파일이 중요한 파일이다. 파일을 열때 subline으로 열면 편하다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삭제하고 http://localhost:8000 을 입력하면 아무것도 안뜰것이다. webapps가 웹서버이다. 정적인 파일들을 만들어준다. webapps는 spring에서 static을 의미한다. Postman 설치하기 Postman 설치 POSTMAN은 GET, POST, PUT, DELETE 4가지 요청을 쉽게 테스트 해 볼 수 있습니다. 구글창에 postman download라고 검색 window 버전 설치 회원가입은 구글로 해주는것이 편합니다. 이름과 직종을 선택해줍니다.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Controller - 고급 데이터 받기 POST맵핑 Setter를 실행하지 않았는데도 데이터가 들어갔다. PUT맵핑 where절에 보내는 데이터는 주소로 보내야한다.(PathVariable이든 쿼리스트링이든) PUT은 무조건 id를 받아야한다. 예로 들어 쿼리문이 다음과 같을때 UPDATE third SET title =?, content = ? -, WHERE id=? WHERE절에 있는 id를 값으로 받는다. id는 body에 담지 않는다. id는 HTTP의 주소에 /{주소}로 담는다. PUT은 third테이블에 Primary Key 1번의 title과 content를 t수정하겠다는 것이다. 약속된 주소와 body데이터로 대화를 할수 있다. PUT매핑 - 받기 @RequestBody 이 클래스에 값을 넣을 때 x-www-form 타입이 아.. Mapping 메서드 데이터 받기 - get, psot, put, delete 스프링 파싱 기본전략 : x-www-form-머시기 x-www-form-urlencoded 는 Context-type Get DB의 SELECT할때 사용한다. Http에서 body가 없기 때문에 header에 담아 보낸다. Http에서 QueryString 방식으로 전달한다. Http에서 PK(Primary Key)값을 보낼때는 PathVariable으로 파라미터값을 전달한다. Form태그 방식도 가능하다. Post, Put DB에서 POST는 INSERT, PUT은 UPDATE할때 사용한다. HTTP의 body에 담아 보낸다. Post는 Form 태그 방식도 가능하다. JS방식으로도 가능하다. DELETE Http에서 body가 없기 때문에 header에 담아 보낸다. Http에서 QueryString.. Mapping 메서드 - get, post, put, delete white이름의 새로운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가 하나이기 때문에 /를 작성한다. 만약 공유해야할 프로젝트가 여러개라면 server.servlet.context-path=/white 이런식으로 작성한다. 그럼 주소를 불러올때도 localhost:8000/white/user 이런식으로 불러온다. Get 요청 chrom에도 요청이 가능하다. Method 4가지 Get, Post, Put, Delete Get,Post,Put,Delete Get확인 Post확인 Put확인 Delete확인 전체코드 package site.metacoding.whit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Delete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