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키지 패키지는 모듈들을 모아 놓은 디렉터리를 뜻한다. 패키지를 만드는 방법 프로젝트 폴더 안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준다. 프로젝트 폴더 위에 마우스 우클릭 그리고 New에 들어가서 Directory라는 옵션을 눌러주면 된다. (폴더를 디렉터리라고 부른다.) 밑에 있는 파이썬 패키지는 평버만 디렉토리와 똑같은데 디렉토리 안에 자동으로 init파일을 생성해준다. 위 사진을 보면 shapes라는 패키지 안에 __init__. py , area.py, volume.py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__init__.py파일은 '이 폴더는 파이선 패키지다'라고 말해 주는 파일입니다. 우리가 처음으로 패키지나 패키지 안에 있는 어떤 것을 임포트하면 가장 먼저 패키지의 init 파일에 있는 코드가 실행됩니다. 패키지 임포트 모듈..
chapter2- 불자료형 및 나머지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불 자료형은 True: 참 , False: 거짓 이 2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다. True나 False는 파이썬의 예약어로 true, false와 같이 사용하지 말고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 한다. 자료형의 참과 거짓을 구분해주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값이 비어있으면(" ", [ ], ( ), { }) 거짓이 된다. 당연히 법이 있지 않으면 참이 된다. 숫자에서는 그 값이 0일 때 거짓이 된다. 파이썬에서 변수란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객체란 자료형 같은 것을 의미한다.
chapter2- 딕셔너리 및 집합 자료형(5) 딕셔너리란 사전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key와 value를 1대 1로 대응시킨 형태이다. 이때 하나의 key에는 하나의 value만이 대응된다. 위 코드에서 'name', 'phone', 'birth'가 key가 되고 각 key에 대한 value는 'pay', '011554468452', '0123'이 된다. 중요한 부분은 key에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value 에는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 사용할 수 있다. key에 리스트는 쓸 수 없다. 하지만 튜플은 key로 쓸 수 있다. 딕셔너리는 쌍을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은 요솟값을 얻고자 할 때 인덱싱이나 슬라이싱 기법 중 하나를 사용했다. 하지만 딕셔너리는 단 한 가지 방법뿐이다. 바로 key를 사용해서 valu..
chapter2- 튜플자료형(4) 튜플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곤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리스트는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으로 둘러싼다.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그중에서 튜플과 리스트의 가장 큰 차이는 값을 변화 시킬 수 있는 가 여부이다. 즉 리스트의 항목 값은 변화가 가능하고 튜플의 항목 값은 변화가 불가능하다. 튜플은 삭제와 변경은 안되지만 나머지 인덱성, 슬라이싱 더하기, 곱하기는 가능하다.
chapter2- 리스트 자료형(3) 리스트를 만들 때는 대괄호([ ])로 감싸 주고 각 요 솟값은 쉼표(,)로 구분해 준다. 리스트명 = [요소1,요소2,요소3, ...] 리스트도 문자열처럼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리스트 역시 + 기호를 사용해서 더할 수 있고 *기호를 사용해서 반복할 수 있다. 리스트 관련 함수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 변수 이름 뒤에 '.'을 붙여서 여러 가지 리스트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ex) 리스트에 요소 마지막에 추가(append), 리스트 정렬(sort), 리스트 뒤집기(reverse), 위치 반환(index), 리스트 요소 삽입(insert), 리스트 요소 제거(remove),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pop),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의 개수 세기(count), 리스트 확장(extend) 등이..
chapter2- 문자열자료형(2)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이다.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둘러싸기 4.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둘러싸기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할 수 있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Indexing)이란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의미이고, 슬라이싱(slicing)은 무엇인가를 '잘라낸다'는 의미이다.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센다.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위 소스 코드에서 변수 a에 저장한 문자열의 각 번호를 매겨보면 L은 0, i는 5, , 는 17 그리고 마지..
chapter2- 자료형(1) 자료형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숫자형 숫자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산자 프로그래밍을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 독자라도 사칙연산(+,-,*,/)을 알고 있을 것이다. 파이썬 역시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사칙 연산을 수행한다. a = 3, b =7 인경우 x의 y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이 연산자는 x**y처럼 사용했을 때 x의 y제곱값을 돌려준다.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 %는 나눗셈의 나머지 값을 돌려주는 연산자이다. 7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는 1이 될 것이고 3을 7로 나누면 나머지는 3이 될것이다. 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연산자
273쪽 예제 문제 10 미만의 자연수에서 3과 5의 배수를 구하면 3,5,6,9이다. 이들의 총합은 23이다. 1000 미만의 자연수에서 3의 배수와 5의 배수의 총합을 구하여라 먼저 1부터 1000까지를 순서대로 샐 수 있는 제어문을 써야 한다. for문이나 while문 나는 for문을 사용해서 이문제를 풀어볼 것이다. for i in range(1,1000): 위 코딩은 1부터 999까지 순서대로 i로 뽑아내는 코딩이다. 그다음은 뽑아 낸 숫자 중에서 3과 5의 배수를 찾을 것이다. if문을 사용해서 이걸 해결할 수 있다 if i % 3 == 0 or i % 5 == 0: result = result + i 만약 i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거나 5로 나누었을 때 0이면 그 숫자를 result에 저장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