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곰탱 2021. 7. 27. 10:39

변수 선언 : 컴파일러에게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저장 공간인 변수를 알리는 역할이며, 프로그래머 자신에게도 선언한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약속의 의미, 변수를 사용하려면 원칙적으로 사용 전에 먼저 변수 선언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변수 선언문

 

하나의 자료형으로 여러 변수 선언

변수 선언은 자료형을 지정한 후 고유한 이름인 변수이름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변수를 선언만 하고 자료값이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으면 원치 않는 값이 저장되며, 오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변수를 선언한 이후에는 반드시 값을 저장하도록 한다. 이를 변수의 초기화라고 한다!!!

 

대입 연산자 '='

오른쪽에 위치한 값을 이미 선언된 왼쪽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 대입 연산이 있는 문장을 대입문

대입 연산자 예시

부동소수 자료형

부동소수형을 나타내는 키워드는 float,double,long double 세 가지이다.

float은 4바이트이며, double과 long double은 모두 8바이트이다.

float형 변수에 저장하면 꼭 3.14 F와 같이 float형 상수로 저장

 

문자형 자료형 :  char

연산자 sizeof를 이용하면 자료형, 변수, 상수의 저장공간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알 수 있다.

 

오버플로와 언더 플로

자료형의 범주에서 벗어난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overflow) 또는 언더플로(underflow)가 발생

정수형 자료형에서 최댓값+1은 오버플로로 인해 최솟값이 된다. 마찬가지로 최솟값-1은 최댓값이 된다. 이러한 특징을 정수의 순환이라고 한다.

ex) 자료형 short는 16비트로 -32768에서 32767까지 저장 가능, 만일 short변수에 32768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 발생하여 -32768이 된다. 반대로 -32768에 -1을 수행하면 결과는 32767이 된다.

 

리터럴 상수, 심볼릭 상수

리터럴 상수 : 이름이 없이 소스에 그대로 표현해 의미가 전달되는 다양한 자료 값

심볼릭 상수 : 리터 릴 상수와 다르게 변수처럼 이름을 갖는 상수

심볼릭 상수를 표현하는 방법 세 가지: const 상수, 매크로 상수, 열거형 상수

 

const 상수 : 변수 선언 시 자료형 또는 변수 앞에 키워드 const가 놓이면 이 변수는 심볼릭 상수, 상수는 변수 선언 시 반드시 초기값을 저장

 

매크로 상수(전처리기 지시자 #define) : 전처리 지시자 #define은 매크로 상수를 정의하는 지시자이다. #define에 의한 심볼릭 상수도 주로 대문자 이름으로 정의하는데, 이를 매크로 상수라고 부른다.

 

열거형 상수(키워드 enum) : 열거형은 키워드 enum를 사용하여 정수형 상수 목록 집합을 정의하는 자료형. 열거형 상수에서 목록 첫 상수의 기본값이 0이며 다음부터 1씩 증가하는 방식으로 상수값이 자동으로 부여한다.

 

 

문자 상수 표현

문자 상수 표현 예

문자 상수는 문자 하나의 앞 뒤에 작은따옴표를 넣어 표현

함수 printf()에서 문자 상수를 출력하려면 %c, %C의 형식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형식 제어 문자열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