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게시판 만들기 - ajax통신으로 아이디 중복 확인

열곰탱 2022. 9. 18. 01:25

form 태그안에 button이 있으면 자동 submit을 한다. 그래서 type을 button으로 지정해준다.

 

 

listener가 된것이다.

id가 btnUsernameCheck인 버튼이 클릭이 되면, 뭘할지에 대한 행위를 click( )의 ()안에 작성해준다.

java는 (() -> {}), javascript는 (()=>{})를 사용한다.

 

get요청을 하는 이유는 username이 있는지 select할 것이기 때문이다.

json을 만드는 이유는 body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때 사용한다.

 

 

 

@ResponseBody를 붙이면 파일을 찾는 것이 아니라 CMRespDto<Boolean> 데이터로 응답을 한다.

 

 

중요

기본적인 Controller는 view resolver가 발동된다. -> 파일을 찾아서 응답해준다.

 

ResponseBody, restController를 붙이면 자바오브젝트를 return할때  

데이터로 응답해주는데 데이터를 응답해줄때 message convert가 발동되는데

message convert는 자바 오브젝트를 json으로 변경해서 응답해준다.

 

 

 

 

$.ajax(); 로 ajax통신을 시작한다.

 ajax통신이 호출이되고 응답의 결과가 done()의 내부로 들어간다.

done(끝나고 할 행위(메서드)) 를 넣으면 된다.

 

ajax done에서 res 로 갔고 res변수로 받을때

ajax은 통신 json을 자바스크립트 오브젝트로 다시 치환해서 받아준다.

 

dataType을 적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한테 알려주기 위해 서이다.

ajax한테 알려줘서 done이 시작될때 파싱전략을 알려주는 것이다.

 

 

 

유저네임에 ssar이 있기때문에 data가 true가 나온다.

aaaa는 없기때문에 data가 false가 나온다.

 

 

 

통신은 무조건 비동기통신으로 한다.

 

 

ajax통신으로 아이디 중복확인

 

 

유저네임 중복체크 버튼을 누르지 않고 회원가입을 하면 

유저네임이 기존에 있음에도 회원가입이 되기 때문에 UNIQUE 설정을 해준다.

 

유효성 검사를 위해서 username에 UNIQUE를 설정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