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데이버베이스 -1

열곰탱 2022. 8. 9. 12:48

1. SELECT 프로젝션

 

-- : 데이터베이스에서 변수

FROM - 키워드, emp - 변수

emp라는 테이블을 퍼오른다.

키워드를 대문자로 적음

스키마 - 테이블의 구조

 

 

열을 고르는 행위 = 프로젝션

 

ctrl + enter누르면 실행 

 

2. WHERE 행을 추출하기
=, <, >, !=, <=, >=
and, or

 

ename이 SMITH라는 행을 불러와라

 

 

 

 

sal이 1500 이상인 행을 모두 불러와라

ename이 s로 시작하는 행을 불러와라

ename이 h로 끝나는 행을 불러와라 

 

ename에 I가들어가는 행을 불러와라 

 

ename중에서 2번째에 M이 들어간 행을 불러와라 

 

 

 

실행순서 FROM -> WHERE ->  SELECT -> ORDER BY

 

 

 

 

as를 이용해서 sal * 2를 연봉이라는 이름으로 별칭을 정함.

별칭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먼저 sal을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하고, sal값이 같은 것은 ename으로 오름차순을 한다.

 

5. 프로젝트 연산(열끼리 연산)

 

분기함수 DECODE  - (if문과 같다.)

decode(comm, null, 0, comm)

comm = null 이면 0을 출력

comm  = null 이 아니면 comm출력

 

ex) DECODE(A,B,X,C,Y,Z)

A = B이면 X 출력,

A = C이면 Y 출력,

A ≠ B 이고 A ≠ C이면 Z 출력

 

 

CASE WHEN - 조건에 따라 값을 줌

CASE 컬럼

WHEN 조건1 THEN 값1

WHEN 조건2 THEN 값2

ELSE 값3

END 

(컬럼이 조건1 일때는 값1을, 조건2일때는 값2를 반환하고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값3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비만여부 확인 방법

(키-100)*0.9  = 표준체중 

표준체중 > 몸무게 = 마름

표준체중 < 몸무게 = 비만 

표준체중 = 몸무게 = 표준

 

CEIL()  함수

소수점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올림하여 값을 반환해준다.

 

FLOOR() 함수

숫자를 다음 정로 내림한다.

 

1.9 실수를 정수 1로 내림해준다.

 

MOD() 함수

나누기 연산을 한 후에 구한 몫이 아닌 나머지를 결과로 되돌려주는 함수이다.

7나누기 3의 나머지인 1값을 되돌려준다.

 

UPPER() 함수

데이터 값을 대문자로 변환할 때 사용한다. 

소문자 hello 를 대문자 HELLO로 반환했다.

 

TRIM() 함수

문자열에 공백 또는 문자 제거

ssar 양옆에 있는 여백들을 제거하고 반환했다.

 

LPAD(), RPAD() 함수

LPAD는 왼쪽부터 특정 문자로 자릿수를 채우는 함수이고,

RPAD는 오른쪽부터 특정 문자로 자릿수를 채우는 함수이다.

총 7자리중에서 왼쪽에 810을 채우고 오른쪽부터 *을 채워넣는다.

 

SUBSTR() 함수

문자열을 특정 위치로부터 자르는 함수

가 - 자리수 0

나 - 자리수 1

다 - 자리수 2

라 - 자리수 3

자리수 0이상부터 2미만까지 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