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이다.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둘러싸기
4.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둘러싸기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할 수 있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Indexing)이란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의미이고, 슬라이싱(slicing)은 무엇인가를 '잘라낸다'는 의미이다.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센다.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위 소스 코드에서 변수 a에 저장한 문자열의 각 번호를 매겨보면 L은 0, i는 5, , 는 17 그리고 마지막 n은 23을 가리킨다.
a [번호]는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뽑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업을 인덱싱이라고 한다.
ex) a[3]을 출력하게 되면 문자열의 4번째 문자 e를 출력하게 된다.
a [시작번호:끝번호]는 문자열에서 시작번호부터 끝번호까지 뽑아낸다는 뜻이다. 이러한 작업을 슬라이싱이라고 한다.
ex) a [0:4]을 출력하게 되면 'Life'가 출력하게 된다.
a [12:17]은 'short'가 출력된다.
조심해야 할 부분은 슬라이싱 기법으로 지정할 때 끝번호에 해당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문자열 포매팅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문자열 관련 함수
문자열 자료형은 자체적으로 함수를 가지고 있다. 이들 함수를 다른 말로 문자열 내장 함수라 한다. 이 내장 함수를 사용하려면 문자열 변수 이름 뒤에 '.'를 붙인 다음에 함수 이름을 써주면 된다.
문자 개수 세기(count), 위치 알려주기 1(find), 위치 알려주기 2(index), 문자열 삽입(join),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기(upper),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꾸기(lower), 왼쪽 공백 지우기(lsstrip), 오른쪽 공백 지우기(rsstrip), 양쪽 공백 지우기(strip), 문자열 바꾸기(replace), 문자열 나누기(split)등이 있다.
'파이썬 > 파이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2- 불자료형 및 나머지 (0) | 2021.07.17 |
---|---|
chapter2- 딕셔너리 및 집합 자료형(5) (0) | 2021.07.17 |
chapter2- 튜플자료형(4) (0) | 2021.07.16 |
chapter2- 리스트 자료형(3) (0) | 2021.07.16 |
chapter2- 자료형(1) (0) | 202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