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WS 회원가입 후 서비스 - EC2
2.인스턴스 시작
- 이름 작성
- Ubuntu 선택
Ubuntu가 가장 학습하기에 좋다.
회원가입한 순간부터 1년간 프리티어로 몇가지 기능들을 무료로 사용가능
유닉스 - 대형컴퓨터(OS)
리눅스 - 소형컴퓨터(OS) - GPL (무료) (추가 개발시 무료)
리눅스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GPL(General Public License)
리눅스 기반으로 OS를 만들면 유료로 못만든다.
리눅스 기반의 두개의 OS
Debian(함수, 소프트웨어APT)
Redhat(함수, 소프트웨어YUM) - 설치하고 문제발생시 AS를 해준다.
두개는 함수랑 소프트웨어가 다르다
Debian 하위 -> Ubuntu, Rasbian
3.키 페어 생성
키페어 이름을 작성하고 키페어 생성을 누르면
키페어가 다운로드 된다.
폴더를 생성하여 다운로드 받은 키페어를 폴더에 담아준다.
4. 네트워크 설정 및 스토리지 구성
네트워크 설정
방화벽(보안그룹)
몇번 포트를 공개할것인지 설정
위치무관 - 0.0.0.0/0 - 누구든 접근할수있도록(모두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스토리지 구성
스토리지 용량을정해준다 . - 30
5.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상태가 대기 중에서 실행중으로 바뀌면 생성이 완료된것이다.
6. 인스턴스 정보
생성한 인스터를 눌러보면
인스턴스 id, 퍼블릭 IPV주소, 프라이빗 IPV주소를 확인할수 있다.
우리가 접근할수있는 포트는 22번 포트이다.
22번포트는 secure shell이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V5(CI/CD배포) -1 엘라스틱빈스톡 생성 (0) | 2022.11.09 |
---|---|
Elastic Beanstalk 서비스 종료 (0) | 2022.11.07 |
aws 배포 (0) | 2022.11.02 |
aws 키생성 (0) | 2022.11.01 |
aws - Mobaxterm을 설치 및 서버 실행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