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boot

sts 첫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

 

Group에는 도메인을 적어준다.(지금은 강사님의 도메인에 적어준다.)

둘의 이름을 맞춰준다.

 

혼자 프로젝트를 만들때 밑에 3개의 박스를 바꿔주면된다.

(도메인은 강사님의 도메인을 사용한다.)

 

 

체크박스는 라이브러리이다.(spring 공식라이브러리)

여기에 없는 라이브러리는 외부라이브러리이다.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체크해줍니다.

Developer Tools에 

 

검색창에 web을 검색해서 Spring web을 체크해줍니다.

필요한 모듈들을 모두 선택한 다음 Finish를 눌러줍니다.

 

화면 왼쪽 아래를 보면 다운받는 상태가 보일텐데 

다운받을때는 아무것도 건들이지 않습니다.

(괜히 건드렸다가 바뀔수도 있음)

 

 

 

위에 빨간 박스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아래박스에서 코드를 테스트한다.

 

내가 아까다운 받은 라이브러리가 있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라이브러를 없애줄수잇따 

 

없어진것을 확인할 수있다.

다시 주석한 것을 제거합니다.

 

Gson 라이브러리 추가

 

 

 

 

패키지생성

 

이름에다가 .web을 추가해준다.

 

패키지를 보기 쉽게 Hierarchical을 선택해줍니다.

 

 

만들어준 web패키지에 DemoController클래스를 추가해줍니다

 

 

실행시에 런타입할떄 메인이 실행할때

@를 보고 특정메서드를 실행시킵니다.

 

 

DemoController 클래스에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해준다.

 

 

DemoApplication에서 Ctrl +F11을 눌러준다.

 

 

 

Ctrl + f11을 눌러준결과가 console창에 started가 뜨면 성공이다.

 

오류가 뜨면 포트설정을 해준다.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한것이다.

 

경로에 /home을 추가해줍니다.

 

 

 

 

주소가 똑같으면 절대 안된다. 둘중 누구를 반환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메서드에서 리턴된 값을 소켓으로 넣고 버퍼드라이트해줌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 URI  (0) 2022.08.25
sts 웹개발환경  (0) 2022.08.24
view resolver  (0) 2022.08.24
spring  (0) 2022.08.24
sts(Spring Tool Suit) 설치  (0) 20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