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만든 Flutter 프로젝트 시작전 세팅을 하나해줘야한다.
analysis_options.yaml에 들어가서 rules : 부분에 4개의 소스코드를 입력해야한다.
이코드는 lint 를 끄는 용도이다.
lib파일에 있는 main.dart가 메인페이지이다.
"앱 시작해주세요" 라는 의미아다.
MyApp 부분에 앱 메인페이지 입력을 입력하면 된다.
위에 4줄은 기본적으로 있어야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건들지 않고 넘어가면 된다.
실질적인 코딩은 return ~ 부분부터 할 것이다.
Flutter에서 앱 디자인넣는 법 : 위젯 짜집기
기본위젯 4가지 : 글자 위젯, 아이콘 위젯, 이미지 위젯, 박스 위젯
글자 위젯
글자를 넣을 때는 Text('원하는 글자') 형식으로 넣어준다.
아이콘 위젯
star 부분대신에 shop 등 다른 아이콘들을 넣을 수 있다.
아이콘 넣을 때는 Icon(Icons.아이콘이름) 형식으로 넣어준다.
이미지 위젯
이미지를 넣을 때는 Image.asset('경로') 형식으로 넣어준다.
이미지 보관용 assets 폴더 만든다.
저장된 이미지를 금방 만든 assets폴더에 드래그해서 넣으면 된다.
그 후, 이미지를 쓰겠다고 등록도 해야한다.
pubspec.yaml에 들어가서 flutter를 찾아 assets폴더를 쓰겠다고 적어주고
assets/ 는 assets 안의 모든 파일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Image.asset('이미지 경로') 부분에 이미지 경로를 입력하면 된다.
박스 위젯
박스를 넣을 때는 Container()를 사용해준다.
home: Container() 또는 home: SizedBox()
50의 단위는 LP으로 Flutter에서 사용하는 사이즈 단위이다.
위의 Container 같은 경우는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부모를 통해 결정하면 된다.
내 자식 위젯의 기준점을 중앙으로 설정 해주는 Center()
위젯 안에 위젯 -> 위젯 ( child: 위젯()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설치 (0) | 2022.08.03 |
---|---|
라이브러리 (0) | 2022.08.03 |
dart -2 (0) | 2022.08.02 |
다트 언어 (0) | 2022.08.01 |
Flutter - 설치 (0) | 2022.01.15 |